해당 내용은 Coursera의 딥러닝 특화과정(Deep Learning Specialization)의 네 번째 강의 Convoluional Neural Network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Week 2)
- Case Studies
[Why look at case studies?]
여러 연구/논문에서 CNN의 효과적인 Building Block 구성 방법이 연구되었으며, 이런 예시들을 참고하는 것이 CNN으로 학습할 때 유용하다.
현대 Computer Vision의 토대가 되는 Classic Networks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LeNet-5
- AlexNet
- VGG
그리고, 이번 강의에서 CNN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ResNet or Conv Residual Network와 Inception Neural Network를 알아볼 것이다.
[Classic Networks]
LeNet-5
[Input -> Conv2D -> Avg Pool -> Conv2D -> Avg Pool -> FC -> FC -> output]
eNet-5의 구조는 위와 같다.
위 논문이 작성될 시기에는 Average Pooling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padding이나 valid convolution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논문에는 non-linearity(비선형)로 ReLU가 아닌 sigmoid나 tanh 함수를 많이 사용했다.(당시에 비선형성을 사용하지 않았음)
LeNet의 구조는 신경망이 깊어질수록 높이와 폭(\(N_H, N_W\))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 채널 수(\(N_C\))는 증가하고 있다. output에는 최근에는 softmax를 많이 쓰지만, 당시에는 다른 분류기를 사용했고, 현재보다 작은 신경망으로 약 60,000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AlexNet
AlexNet의 구조는 위와 같고, LeNet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더 크다는게 차이점이다. 약 6천만개의 파라미터가 존재한다. 여기서는 비선형으로 ReLU를 사용하며, Multiple GPU도 사용한다. 그리고 Local Response Normalization(LRN)을 사용했는데, 연구를 통해서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혀졌고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VGG-16
VGG-16 Network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많은 하이퍼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지만, 네트워크를 더 단순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ConV(3x3 filter, strides=1, same convolution) -> Max Pool(2x2 filter, strides=2)] 로 구성된 network를 반복해서 사용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VGG-16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16개의 lay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억 3800만개의 파라미터가 있다. 이 수치는 오늘날에도 매우 큰 값이고, 학습시킬 파라미터가 매우 많은 큰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매우 단순하고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VGG-19가 조금 더 큰 네트워크이지만, VGG-16과 거의 유사하다.
[ResNets]
아주 Deep한 신경망은 Vanishing Gradient, Exploding Gradient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학습시키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layer에서 activation을 취해서 더 깊이 있는 layer에 제공하는 skip connection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주 Deep한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는 ResNet을 만들 수 있다. 심지어 100개가 넘는 layer로 구성된 네트워크도 학습이 가능하다.
Residual Block
ResNet은 Residual Block이라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Residual Block은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a^{[l]}\)이 2개의 layer를 초록색의 main path로 지나게 되면 \(a^{[l+2]}\)를 얻을 수 있다. Residual Block에서는 입력인 \(a^{[l]}\)을 바로 다음 layer를 뛰어넘고, 그 다음 layer(ReLU를 적용하시키기 전)로 연결시켜준다. 이 path를 shortcut이라고 부르며, \(a^{[l]}\)의 정보가 shortcut을 따라 더 깊은 layer로 바로 전달된다.
따라서 마지막 값은 \(a^{[l+2]} = g(z^{[l+2]} + a^{[l]})\)가 된다.
정리하자면, \(a^{[l]}\)이 layer를 하나 혹은 두개씩 건너뛰는 것을 의미한다.
ResNet의 구성하는 방법은 이런 Residual Block들을 많이 사용해서 Deep NN을 구성한다.
논문에 사용되는 용어로 shortcut이 없는 일반적인 NN을 Plain Network라고 한다.
ResNets은 위와 같이 Residual Block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이며,
만약 Residual Block, Shortcut없이 학습을 수행한다면, 아래 왼쪽 그래프처럼 네트워크가 더 깊어질수록 성능이 안 좋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ResNet을 사용한다면 Deep Network를 학습하는데 효과적이다.
위 결과는 layer가 많아져도 train error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ResNet을 사용하면 중간에 있는 activation이 더 깊이 전달되어서 vanishing/exploding gradient 문제를 해결되는 것이다.
[Why ResNets Work]
그렇다면 왜 ResNet이 Deep Network에서 잘 동작하는 것일까?
방금 우리는 더 깊은 네트워크를 만들면 학습 성능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ResNet을 사용한다면 효과적으로 학습을 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가 있고,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서 activation function으로 ReLU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모든 activation은 0보다 크거나 같을 것이다.(Input은 예외가 있을 수 있음)
그리고 skip connection의 shortcut에 의해서
\[a^{[l+2]} = g(z^{[l+2]} + a^{[l]}) = g(W^{[l+2]}a^{[l+1]} + b^{[l+2]} + a^{[l]})\]
이 된다.
만약 L2 Regularization을 사용한다면 \(W^{[l+2]}\)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을 것이고, bias에도 적용하고 있다면, \(b^{[l+2]}\)도 줄어들 수도 있다.
극단적으로 \(W^{[l+2]} = 0, b^{[l+2]} = 0\)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결국 \(a^{[l]}\)만 남게 된다. (ReLU이기 때문에) 따라서, \(a^{[l+2]} = a^{[l]}\)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또한, Identity function을 학습하는 것은 쉽기 때문에 신경망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만약, residual block이 없는 deep network에서는 Identity function을 위한 파라미터 선택(학습)이 어렵고, 성능이 떨어진다.
한 가지 주의해야하는 것은 \(z^{[l+2]}\)와 \(a^{[l]}\)이 같은 dimension을 가져야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shortcut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다른 dimension을 갖는다면, 추가 matrix를 사용해서 차원을 동일하게 만들어 줄 수도 있다.
\[a^{[l+2]} = g(z^{[l+2]} + W_sa^{[l]}\]
여기서 \(W_s\)는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고정된 matrix일 수도 있다.
위 이미지는 논문에 있는 이미지이다. 그리고 'same convolut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z^{[l+2]}, a^{[l]}\)의 dimension은 일치하게 된다. 만약 다른 Conv나 pooling이 추가되면 \(W_s\)와 같은 것으로 dimension을 조정해주어야 한다.
[Network in Network and 1x1 Convolutions]
CNN 설계에 있어서 1x1 convolution을 사용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Channel 수 조절
- 연산량 감소(Efficient)
- 비선형성(Non-linearity)
만약 28x28x192 volume이 있을 때, 높이와 넓이를 줄이고 싶다면 Pooling layer를 사용하면 된다.
채널이 너무 많아서, 채널을 줄이고 싶다면(28x28x32로), 32개의 1x1 filter를 사용하면 된다. 각각의 filter는 1x1x192이다.
(어떻게 연산하는지와 어떻게 채널의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지는 밑에서 설명)
만약 채널의 수를 192로 유지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filter수를 설정하면 된다.
[Inception Network Motivation]
아래는 Inception Module이며, feature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Conv(1x1, 3x3, 5x5)와 Max-Pooling(3x3)을 각각 수행해서 output을 쌓아올린다. 아래에서는 28x28x192 volume은 Inception Modeul을 통해서 28x28x256 volume이 된다.
기본 아이디어는 네트워크가 원하는 파라미터가 무엇이든, 원하는 filter 사이즈 조합이 무엇이든, 이것들을 모두 다 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연산량이 너무나 많다는 것이다.
5x5 Conv에 대해서 연산량이 얼마나 되는지 한 번 알아보자.
28x28x192 volume에 대해서 5x5 'same' conv 연산을 수행하면, 28x28x32x5x5x192로 1억2천만번의 연산이 수행된다.
여기서 방금 전에 언급했던 1x1 Convolution을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결과는 연산량을 약 10배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방금 전의 5x5 Conv연산에서 중간에 1x1 Conv 연산을 추가했는데, bottleneck layer(병목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간 과정을 통해서 16채널로 감소시키고, 5x5 Conv 연산을 진행하게 된다.
연산량은 28x28x16x1x1x192(1x1 conv 연산) + 28x28x32x5x5x16(5x5 conv 연산)으로 2.4M + 12.4M이며, 약 1240만으로 1억2천만에서 약 10배정도 감소되었다.
요약하자면, 만약 신경망을 구성할 때, 어떤 layer를 사용할지 잘 모르겠다면 inception module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연산량 문제가 있기 때문에 1x1 Conv를 추가해서 연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다만, 1x1 Conv를 추가하는 것이 신경망의 성능을 떨어지게 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할 수도 있다. 이 bottlenect layer를 구현함으로써 channel 수를 감소시키며, 성능을 떨어뜨리지는 않는 것처럼 보이고,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이것이 inception module의 기본 아이디어이고, 계속해서 어떻게 full inception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Inception Network]
방금까지 기본직인 Inception Building Block을 살펴보았고, 이 block을 결합해서 Inception Network를 구현해보도록 하자.
Inception Module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며, input은 이전 layer에서 나온 activation을 사용한다. 우리는 방금 보았던 28x28x192를 input으로 사용하겠다.
위와 같이 input 28x28x192를 1x1 Conv / 1x1 Conv->3x3 Conv / 1x1 Conv->5x5 Conv / MAXPOOL->1x1 Conv 을 각각 거치도록해서 나온 결과를 합쳐서 28x28x256의 output을 얻는다. MAXPOOL layer 뒤에 1x1 Conv layer가 오는 것에 유의한다(MAXPOOL을 통해서는 channel 수를 감소시킬 수 없어서, 1x1 Conv를 사용해서 channel 수를 줄여준다).
이런 block들을 합쳐서 아래와 같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모델을 보면 알겠지만, 모델 초반에는 Inception Module이 들어가지 않는다.(Stem 영역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Conv-Pool 스타일을 가지고 있고, 초반에는 Inceoption 효과가 크기 않다고 한다.)
그리고, 논문에는 초록색으로 표시된, 모델 output layer 말고, 보조로 사용되는 softmax layer가 존재한다. 이것은 파라미터가 잘 업데이트되도록 도와주며, output의 성능이 나쁘지 않게 도와준다. 또한, regulariz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고, overfitting 과적합을 방지한다.
위 모델은 Google의 개발자들에 의해서 만들어졌고, GoogLenet이라고 부른다.
이 모듈을 기반으로 다른 버전을 만든 것도 있으며, Inception v2, v3, v4와 residual block과 결합된 inception network도 있다.
'Coursera 강의 > Deep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ce recognition (0) | 2020.11.30 |
---|---|
Object Detection(YOLO algorithm) (0) | 2020.11.22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CNN) (0) | 2020.11.08 |
ML Strategy 2-2 (Transfer learning, Multi-task learning, End-to-end learning) (0) | 2020.10.30 |
ML Strategy 2-1 (Error Analysis, Data mismatched) (0) | 2020.10.28 |
댓글